일상/지식

물을 많이 마시면 좋을까?

세모정 ALL 2021. 11. 16. 10:39
반응형
반응형

물은 음식물의 소화·흡수를 돕고 분해된 영양소를 각 기관으로 전달해준다. 아침에 일어나서 공복에 마시는 물은 약수(藥水)다. 밤사이 몸속에 쌓인 노폐물을 씻어주고 위와 장의 활동을 촉진시켜 변비를 막아준다. 또 위산이 과다하게 나오는 것을 방지해 아침식사에 도움을 준다.

우리 몸의 60~70%는 물이다. 혈액의 94%, 폐와 간의 86%, 근육의 70~80%, 뇌와 심장의 75%, 콩팥의 74%, 간의 69%, 심지어 뼈도 22%가 물이다. 체내 수분이 1~2%만 부족해도 몸은 이상 신호를 보낸다. 바로 갈증이다. 이를 계속 방치하면 피로감·근육 감소·현기증·집중력 약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몸속 수분을 10% 상실하면 심근경색·심장마비 위험이 급증하고, 20% 이상 잃게 되면 생명에 적신호가 켜진다.

‘물=건강’이라는 공식은 상식으로 통한다. 물을 많이 마셔야 건강하게 산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혹자는 특정 질병을 예방한다는 믿음도 갖고 있다. 하루에 물을 6잔 이상 마시면 2잔 이하를 마시는 사람에 비해 결장암에 걸릴 위험이 절반으로 줄어든다는 얘기도 있다.

728x90


물도 음식이다. 마셔야 한다. 음식이 소화·흡수되는 과정과 동일하게 물도 체내에서 작용한다. 위로 들어간 물은 장에서 흡수되며 각 세포조직으로 전달된다. 물을 공급받은 세포는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영양소와 산소를 공급한다. 물은 신장 등 모든 장기를 거쳐 호흡으로, 피부와 대변으로 배출되며 대부분은 소변으로 빠져나간다.

물은 많이 마실수록 좋다? 과연 그럴까. 무조건 많이 마시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 물 자체는 음식과 달리 씹히지 않아 자꾸 마실 경우 위장에 부담을 준다. 과일이나 채소로 수분을 섭취하는 것과 물을 들이켜는 것은 근본적으로 다르다. 과일이나 채소에 있는 수분은 그 자체로 유기적으로 결합돼 있어 씹는 과정을 통해 침이 섞여 들어가 소화·흡수가 쉽다.

우리 몸은 나트륨이 일정 농도로 유지돼야 한다. 그런데 물을 너무 많이 마시면 혈액 속의 나트륨 농도가 낮아지는 저나트륨혈증이 생긴다. 이럴 때는 얼굴, 팔다리 등이 붓는다. 특히 신장병, 당뇨병, 심장병 환자는 물을 많이 마시면 안 된다. 신부전증 환자는 소변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물이 필요 이상으로 몸에 쌓이게 되면 장기들이 붓는다. 간경화증 환자는 복수가 차기도 한다.

김문재 인하대병원 교수는 “뇌세포가 물로 팽창하면 두통이 생긴다. 심하면 뇌가 붓거나(뇌부종) 혼수상태에 빠질 수 있다”고 말한다.

물을 충분히 마신 후에는 소변 색깔이 깨끗하게 보인다. 정말 깨끗해진 것일까. 아니다. 소변에서 나오는 독소나 찌꺼기의 양은 같다. 많은 양의 물로 희석돼 맑게 보이는 것뿐이다.

전문가들은 물의 과다 섭취를 경계한다. 《소박한 밥상》의 저자 헬렌 니어링은 “갈증이 나지 않을 때도 물을 마시는 동물은 유일하게 인간뿐”이라며 “매일 생과일을 먹기 때문에 물을 마실 필요가 별로 없다”고 역설한다.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 연구팀은 “물이 건강에 이롭기 때문에 무조건 많이 마셔야 한다는 주장을 입증할 만한 과학적 증거는 없다”고 밝혔다.

영국의 마거릿 매카트니 박사는 〈영국 의학 저널〉에 기고한 글에서 “물을 하루 8잔 마시는 것은 지나치며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다”고 경고한다. 물 8잔은 세계보건기구(WHO)가 건강에 좋다고 권고한 수치다. 그는 “물을 너무 마시면 신장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이영기 강남성심병원 교수도 “특정 질환이 있는 사람은 물론이고 일반인도 물을 너무 많이 마시면 오히려 물 중독증 등 심각한 상황을 맞을 수도 있다”고 경계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물을 많이 마시면 몸에 좋다? (의심 많은 교양인을 위한 상식의 반전 101, 2012. 9. 24., 김규회, 황선정, 송진욱)

SMALL

 

반응형

loading